![]() |
GATT에서 국가간의 기술장벽 해소를 위해 마련한 ISO 9001은 조직의 품질시스템을 제3자(인증기관)가 평가하여 품질능력을 이증해 주는 제도입니다. |
|
|
![]() |
현행 ISO 인증획득 기업에 대한 지원책은 다음과 같다. ◎ 정부구매 시 인증획득 기업 제품에 대한 지명경쟁 입찰 및 수의계약 가능 ◎ KS 표시허가 심사 시 공장심사 면제 (산업표준화법 시행규칙 제 16조 및 제 22조) ◎ 병역 지정업체 추천기준에 포함 ◎ 단체 수의계약 물량 배정 기준상 수혜기준 40% 적용 ◎ 기술신용보증기금의 기술우대 가산점 부여 ◎ 건설기술관리법에 따른 가산점 부여 (제 47조에 따른 시공능력평가 및 용역업자 용역능력평가 시 가산점 부여) ◎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른 기술비 세액공제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제 <1998.05.16> 9조> ◎ 기타 - 수도법에 의한 수도용 자재 기준 해당 (인증획득 의무 품목 - 수도법 제 13조 및 제 18조에 의한 수도용 자재) |
★Tip |
프로세스의 힘이란?? ◎ 대기업도 아니고, 자동차자 전자제품을 만드는 회사도 아닌데 왜? 복잡한 프로세스가 필요한가? ◎ 창의적인 업무의 성격상 그렇게 도식화에서 표현할 수 없다. ◎ 프로세의 “프” 자도 모르고 하는 애기다. 오히려 작은 규모의 조직일수록, 업무영역의 규정이 확실치 않은 일일수록, 시간투입에 비해 나타나는 생산성이 모호한 성격의 일일수록 프로세의 확립이 더욱 필요하고 절실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위계질서도 모호하고, 직서도 안 잡혀있고, 생산성에 대한 측정도 불분명하기 때문에 실제로 책임과 권한 업무영역에 대한 이해가 서로간에 현저히 엇갈린 확률이 높다. 프로세스 룰, 시스템이 확실히 구축되어 있다면 그 어떤 사람이 들어오더라도, 또 어떤 위기상황에 맞닥뜨리더라도 흔들림 없이 일관성을 유지하는데 커다란 도움이 된다. 최적화된 프로세스에 구성원 하나 하나가 힘을 덧붙어 더욱 발전시킨다면 그것은 강력한 집단적 파워를 발휘한다. |
1 + 1 = 2가 아니라 10이나 20이 될 수 있는 것이 바로 프로세스의 힘이다. |
'인증 > 시스템인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OHSAS18001 (0) | 2017.03.21 |
---|---|
KGMP (0) | 2017.03.21 |
ISO22000 (0) | 2017.03.21 |
IS/TS16949 (0) | 2017.03.21 |
ISO14001 (0) | 2017.03.21 |